[기묘한 블로그] 사라져가는 카나의 일기 1
번역: NENA(네나)
정신병을 앓는 사람은
이상한 그림을 그릴 때가 있다고 한다.
미국에 사는 에드워드 사몬드는
28세 무렵 중증 정신질환 진단을 받았다.
그가 그린 그림을 보자면...
어째서 이 그림에는 뇌가 그려져 있는 것일까.
거기엔 이유가 있다고 정신과 의사는 말한다.
우리는 모두 「인간의 머리에는 뇌가 들어있다」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해서 인물화에 뇌를 그리는 사람은 거의 없지요.
왜냐하면 뇌는 피부에 감춰져 있어 「밖에서는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허나 그와 같은 환자들은 밖에서는 볼 수 없는 「내부」의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많아요.
뇌, 내장, 식물의 뿌리, 집의 골조와 같이.
눈으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현실과 상상의 구별이 모호해져 있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그림에는 그 사람의 심리상태가
비추어져 있을 때가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그림은 어떨까.
이것은 지금으로부터 13년 전, 어느 블로그에 등록된 그림이다.
난잡하고 매우 유치한 그림.
그러나 이 그림에는 작자의 「내면」이 강하게 드러나있다.
당신은, 여기서 무엇을 간파했는가.
S씨의 이야기
── 내 지인 중, S씨라는 프리라이터가 있다.
얼마 전 그에게서 이상한 이야기를 들었기에 소개해보려 한다.
S씨: 그건 이미 10년도 더 된 이야기예요.
그 무렵의 저는 대학교 자취생이라 남아도는 게 시간이어서,
매일 인터넷만 하면서 빈둥빈둥 지내고 있었어요.
인터넷이래봤자 지금처럼 동영상을 원 없이 볼 수 있는 시대가 아니었기에
주로 2ch, BBS, 나머진 블로그 같은 곳을 섭렵하고 다녔습니다.
── 어느 날 밤, S씨는 자택 컴퓨터로 2ch을 보고 있었다.
그곳에서는 「추천 사이트」를 테마로
자기만의 홈페이지나 각종 블로그를 서로에게 추천하고 있었다.
── 그러던 중, S씨에게 한 투고가 눈에 들어왔다.
「사라져가는 카나의 일기」
S씨: 묘한 타이틀이라는 생각에, 공포물을 키워드로 검색을 해봤어요.
S씨: 그것은 간소한 디자인의 개인 블로그였습니다.
저는 마침 몇 시간 전에 막 올라온 가장 새로운 글을 클릭했습니다.
── 페이지를 열자, 맨 처음 눈에 들어온 것은
1장의 그림이었다.
── S씨는 그것을 육아일기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S씨: 필시 「카나」는 어린 여자 아이고 「켄토」는 그 부친.
이불에 실례를 해도 「상태가 나쁘니까 어쩔 수 없지」라니,
상당히 자상한 아버지구나 생각했어요.
뭐, 내용 자체는 흔한 육아 기록이었지만,
신경 쓰이던 것은 블로그의 타이틀이었죠.
※참고: "아버지"라고 생각했던 건 1인칭이 보쿠(僕)였기 때문.
── 확실히 육아일기로서는 부자연스럽다.
S씨는 타이틀의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과거의 기록을 읽어보기로 했다.
S씨: 블로그가 개설된 것은 그날부터 약 넉 달 전이었어요.
일단 「처음뵙겠습니다」라는 제목의 맨 처음으로 투고된 일기를 클릭했습니다.
4월 30일
── 「카나」의 그림을 올린 것은,
블로그를 시작한 이후로 늘 하던 일과였던 것 같다.
그러나 화면을 스크롤 하자 나온 그림을 보고
S씨는 숨을 삼켰다.
S씨: 정밀하게 그려진, 능숙한 그림이었습니다.
어린아이가 그렸다고는.... 아니, 그것보단
같은 인물이 그렸다고 생각되지 않았어요.
── 「카나」는 대체 어떤 인물인 것인가.
S씨는 이후의 일기를 계속 읽어나갔다.
5월 1일
5월 2일
── 그리고 다음날의 일기에서, 어떠한 사실이 밝혀지게 된다.
5월 3일
── 이럴 수가, 「카나」와 「켄토」는 연인사이였던 것이다.
S씨: 당시 연인에 대한 마음을 쭉 기록하는 「애정 블로그」 같은 것이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었습니다.
이것도 그 일종이라고 생각했습니다만...
그렇다면 그 휘갈긴듯한 그림은 무엇이었는지,
괜히 더 의미를 알 수 없게 돼버렸어요.
── S씨는 일기를 계속 읽었지만, 이후 얼마동안은
「둘이서 영화를 봤다」 「새로운 CD를 샀다」와 같은 흔한 내용만 이어졌고,
카나의 그림이 올려져 있지 않았다.
그러나 5월 12일의 일기에서,
이변이 일어났다.
5월 12일
── S씨는 위화감을 느꼈다고 했다.
S씨: 이전의 그림과 비교하면 조금 조잡한 느낌이 들었어요.
꽃병의 형태라던가, 밸런스가 나쁘잖아요.
뭐, 날에 따라 잘 그려지지 않는 일도 있을 테니
그저 기분 탓인가 하는 생각은 했지만요.
── 그러나, 그 작은 위화감은
블로그 글을 계속 읽어나가던 중에 확신으로 변해갔다.
※이후부턴 카나의 그림이 올려진 날의 일기만 발췌
5월 13일
5월 15일
5월 21일
── 명백하게 그림이 무너져있다.
S씨: 켄토는 「예술적」이라고 표현했지만,
그런 것과는 조금.... 이질적인 느낌이 들었어요.
특히 5월 21일의 그림은 뭔가 병적이랄까....
카나는 대체 무슨 생각으로 이런 그림을 그린 걸까 하고.
그래서 다음 일기를 열어봤는데,
5월 29일
S씨: 급전개죠. 이전에
「정신이 병든 사람은 이상한 그림을 그리게 되는 일이 있다.」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요.
S씨: 카나는 어떠한 정신질환을 앓고 있어서,
그 영향으로 그림이 점점 이상해져 가고 있다.... 그렇게 생각해 보면 일단 설명은 됩니다.
다만, 어딘가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할까, 정체를 알 수 없는 안개 같은 것이 좀 느껴지죠.
일단은 조금 더 일기를 읽어보기로 했습니다.
※이후부턴 카나에 관해 중요한 기술(記述)이 있는 일기를 발췌하여 소개한다.
6월 10일
6월 28일
7월 11일
8월 16일
─── 카나의 상태가 나빠져 가기만 하는 것 같다.
변해가는 연인의 모습에 마음 아파하면서, 그럼에도 헌신적으로 간병하는 켄토.
S씨는 애처롭게 생각하는 반면, 역시 이해가 가지 않는 점이 있었다고 말한다.
S씨: 조사해보기로는, 정신질환의 대부분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면 회복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해요.
하지만 켄토는 카나의 병을 마치 불치병처럼 써놨잖아요.
그리고 일기를 다시 읽으면서 눈치챈 건데...
「카나를 병원에 데리고 갔다」라는 기술이 단 하나도 없어요.
확실히 정신과란 곳은 좀 문턱이 높다랄까, 가기 힘든 이미지가 있긴 하죠.
켄토는 혹시 카나를 병원에 데리고 가지 않은 채,
자신의 판단만으로 「평생 낫지 않는 마음의 병」이라고 단정 지어버린 것이 아닌지,
그런 기분이 들었어요.
── S씨는 블로그에 코멘트를 달기로 했다.
S씨: 쓸데없는 참견이라고는 생각했습니다만,
이대로 두면 두 사람 모두 힘들기만 할 거라는 생각이었기에.
── 그러나, 며칠이 지나도 켄토의 답신은 없었다.
그 후에도 매일 블로그는 갱신되었고, 이따금씩 카나의 휘갈긴 그림이 올라왔다.
켄토가 카나를 병원에 데리고 갔다는 말은 없었다.
그로부터 약 2주일 후의 일이었다.
─ 다음편으로 계속
'■Today번역괴담 > 장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담모음] 기묘한 도시전설, 쿠네쿠네 1 (0) | 2023.07.09 |
---|---|
[기묘한 블로그] 사라져가는 카나의 일기 2 (끝) (0) | 2023.05.07 |
[2ch괴담] 오츠카레사마(수고하셨습니다) - 후편 (1) | 2022.10.19 |
[2ch괴담] 오츠카레사마(수고하셨습니다) - 전편 (1) | 2022.10.15 |
[장편괴담] 비디오 속의 친구 4 (1) | 2022.10.09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괴담모음] 기묘한 도시전설, 쿠네쿠네 1
[괴담모음] 기묘한 도시전설, 쿠네쿠네 1
2023.07.09 -
[기묘한 블로그] 사라져가는 카나의 일기 2 (끝)
[기묘한 블로그] 사라져가는 카나의 일기 2 (끝)
2023.05.07 -
[2ch괴담] 오츠카레사마(수고하셨습니다) - 후편
[2ch괴담] 오츠카레사마(수고하셨습니다) - 후편
2022.10.19 -
[2ch괴담] 오츠카레사마(수고하셨습니다) - 전편
[2ch괴담] 오츠카레사마(수고하셨습니다) - 전편
2022.10.15